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산업기사/실기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IT신기술 용어 정리-hoyhi-tistory

1. TinyOS

미국 버클리대학에서 개발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용 소형 OS

 

2. 4K Resolutuon(4K 해상도)

 4,000 픽셀들의 X축 해상도를 가지는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 이 해상도는 극장용 디지털 영화용의 표준이 된다

 

3. ONS(Object Name Servic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전자태크) 코드와 관련된 사물의 구체적인 정보가 저장된 서버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

 

4.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10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개인통신망

 

5.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분할)

고속의 송신 신호를 다수의 직교(Orthogonal)하는 협대역 반송파로 다중화시키는 변조방식을 말한다. 여러 변조 방식에서는 각기 장단점이 있기 마련인데 ( )의 큰 장점을 들자면 대역확산 기술을 들 수 있다. 그것은 정확한 주파수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많은 수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분산 시킨다. 바로 이 간격이, 복조기가 자기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주파수를 참조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내에서 "직교성(Orthogonal)"을 제공한다.

 

6. Trap Door(트랩도어)

시스템 보안이 제거된 비밀 통로로, 서비스 기술자나 유지 보수 프로그램 작성자의 액세스 편의를 위해 시스템 설계자가 고의로 만들어 놓은 시스템의 보안 구멍. 백 도어(back door)라고도 한다.

 

7. Watering Hole(워터링 홀)

사자가 마치 먹이를 습격하기 위해 물웅덩이 근처에서 매복하고 있는 형상을 빗댄 것. 표적으로 삼은 특정 집단이 주로 방문하는 웹 사이트를 감염시키고 피해 대상이 그 웹사이트를 할 때까지 기다리는 웹 기반 공격

 

8.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마그네틱 안전 전송)

루프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을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근접시켜 신용카드 정보전송하는 기술. 마그네틱 신용카드를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접속시킬 때 발생되는 자기장과 동일한 자기장을 휴대폰에서 발생시켜 무선으로 신용카드 정보가 결제 단말기에 전달한다. (ex. 삼성페이)

 

9. Zero Day Attack(제로데이 공격)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상태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보안패치가 발표되기 전에 해당 취약점을 이용해 이뤄지는 해킹이나 악성코드 공격

 

10. Broad Data(브로드 데이터)

거대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 빅 데이터와 달리 기업 마케팅에 보다 효율적인 다양한 정보. ( )는 전에 사용하지 않았거나 몰랐던 새로운 데이터,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SNS 활동, 위치 정보 등이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 행태를 분석한 아이비엠(IBM)의보고서(Greater Expectation)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 자신의 개인 정보를 기꺼이 유통 업체와 공유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Gray Box Testing(그레이 박스 실험)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의 일부만 알고 수행하는 시험의 형태. ( )은 블랙박스 시험화이트박스 시험혼합된 방식의 시험 형태이다.

 

12. Vaporware(베이퍼웨어, 증발품)

눈앞에 채 나타나기도 전에 수증기처럼 없어져 버릴 수도 있는 제품이라는 뜻이다. 박람회 홍보책자에만 존재하는 상품이라는 의미에서 브로슈어웨어(brochure ware)라고 부르기도 한다.

 

13. Smurfing(스머핑)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해 초당 엄청난 양의 접속신호를 한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보냄으로써 상대 컴퓨터의 서버를 접속 불능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해킹 수법.

 

14. O2O(Online to Offline)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구체적으로 인터넷이나 스마트 폰을 이용해 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을 유치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등장과 모바일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15. GIGA-FI(기가파이)

60GHz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가급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 전 세계적으로 비허가 대역으로 지정된 57~64GHz 범위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넓은 대역폭의 높은 데이터 전송률(3Gbps)을 얻을 수 있다. 또 전파 거리가 짧고 직진성이 강해 주변 간섭에 매우 강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주파수 재사용도 용이하다. 홈 네트워크나 실내 무선 랜 지원에 가장 적합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16. Data Diet(데이터 다이어트)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고, 겹친 정보는 중복을 배제하고, 새로운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저장하는 작업. 인터넷과 이동 통신 이용이 늘면서 각 기관·기업의 데이터베이스에 쌓인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으로, 같은 단어가 포함된 데이터들을 한 곳에 모아 두되 필요할 때 제대로 찾아내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중복 데이터를 압축하고 제거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쓰면 저장량을 5 분의 1 로 줄일 수 있다.

 

17. GLONASS(글로나스)

러시아의 전파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소비에트 연방이 개발했고, 현재는 러시아 우주군이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미국의 GPS, 유럽 연합의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와 같은 것이다.

 

18. Beacon(비콘)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술이다. NFC(근접무선통신,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 ex. 교통카드)보다 가용거리가 길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 서비스에 적합하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특정 장소에서 안내서비스, 모바일 쿠폰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저전력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도 적으며, 실내에서는 GPS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개인정보 수집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사용자의 동의가 필요 없다는 특성상 원치 않는 스팸들이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 활용 예: 명동성당 입구에 도착하면 스마트폰으로 성당의 역사, 미사 시간 등이 포함된 웹페이지가 뜬다. 지하성당으로 내려가면 상설고해소 운영시간을 알려준다.

 

19. Hacktivism(핵티비즘)

해커와 행동주의의 합성어로 정치·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자신과 노선을 달리하는 정부나 기업·단체 등의 인터넷 웹 사이트를 해킹하는 행위

 

20. Tajo(타조)

하둡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이다. ( )는 2010년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DB연구실에서 리서치 프로토타입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2013년 3월에 그루터(Gruter), 고려대학교, 링크드인(LinkedIn), 나사(Nasa), 호튼웍스(HortonWorks), 인텔(Intel)의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아파치 재단의 인큐베이션 프로젝트로 채택이 되었다. 그리고 2014년 3월에는 최상위 레벨 프로젝트(TLP)로 승격이 되는 쾌거를 이뤘다. 또한 최근에 SK텔레콤의 빅데이터분석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것이 공개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21. Typo-squatting

네티즌들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를 잘못 입력하거나 철자를 빠뜨리는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유명 도메인을 미리 등록하는 일

 

22. Meformer(미포머)

미국 럿거스대학(Rutgers university) 연구진이 2009년 말에 발표한 신조어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블로그(blog) 등을 통해 정보활용의 가치가 떨어지는 자신과 관련된 신변잡기를 알리는 일에만 열중하는 사람을 뜻하는 용어다. ( )가 SNS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구실을 하지만, 불필요하고 잘못된 정보를 양산할 가능성이 높아 SNS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인포머가 점차 확산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23. Social Curation(소셜 큐레이션)

큐레이션은 미술관·박물관 등에 전시되는 작품을 기획하고 설명해주는 큐레이터(Curator)에서 파생한 신조어로, 큐레이터처럼 인터넷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수집해 공유하고 가치를 부여해 다른사람이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이르는 말이다. 빅데이터 속에서 허우적댈 수밖에 없는 정보 과잉의 시대에 정보의 선별과 요약을 돕기 때문에 정보의 공해 속에 지쳐 있는 소비자들이 상품 선택 과정에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큐레이션의 장점으로 꼽힌다.

 

24. Stereoscope(입체경)

2장의 입체사진이나 그림을 사용하여 입체감 있는 시각상을 형성하는 장치

 

25. VBR(Variable Bit Rate, 가변 비트율)

많은 데이터를 요구하는 곳에 더 많은 비트를 할당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 요구가 적은곳에는 비트를 적게 할당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인코딩할 때 상황에 따라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압축 방법

 

26. ACN(Automatic Crash Notification, 자동 차량 충돌 알림)

표준화된 데이터 메시지를 통해 차량충돌에 관계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무선통신매체를 이용한 자동시스템

 

27. TEIN(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유라시아 초고속 정보통신망)

우리나라가 처음 제안하여 아시아와 유럽 간 IT 협력을 위해 한국-동남아-유럽을 연결하는 국제 연구망

 

28. Tvishing(티비싱)

스마트TV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스마트TV에 대한 최고 접근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TV를 해킹해 시청자의 사생활을 몰래 촬영하거나 해커가 해적방송을 송출하고 이를 통해 홈쇼핑 등 녹화된 화면을 띄워 자동주문번호를 자신의 번호로 바꿔치기 하는 식으로 금전을 가로채거나 시청자들의 사생활을 유출시킬 수 있다.

 

29. Phablet(패블릿)

폰과 태블릿의 합성어로, 5인치 이상의 대화면 스마트폰

 

30. M2M(Machine-To-Machine, 기계 대 기계 관계)

지금까지는 소비자들이 컴퓨터나 PDA 등 여러 디바이스들을 직접 사용하는 사람 대 기계 관계가 대부분이지만,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기기가 센서로 모은 단편 정보를 다른 기기와 통신하면서 인간이 윤택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서로 반응해 주변 환경을 조절해주는 기술

 

31. Cresumer(크리슈머)

소비를 통해 욕구를 충족하는 수준을 넘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창조적인 소비자. 이들은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구매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제품에 대한 피드백은 물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한다.

 

32. 3D Printing(3차원 인쇄)

디지털화된 디자인 데이터를 활용해 인쇄를 하듯 물체를 만들어 내는 방식

 

33. BYOD(Bring Your Own Device)

개인 소유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회사업무에 활용하는 환경. 고객 데이터와 기밀 정보 유출 가능성 있음

 

34. Miracast(미라캐스트)

Wifi를 기반으로 두 기기를 연결하여 송신부(스마트폰) 기기의 화면을 그대로 수신부(대형TV) 기기에 보여주는 기술

 

35. HMD(Head Mounted Display)

머리나 눈에 장착하여 현장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소형 이미지 표시 장치의 일종 주로 가상 현실 체험시에 사용된다

 

36. Big Data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37. Carrier Aggregation(CA, 주파수 결합 기술)

2개(이상)의 주파수밴드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이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38.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CA를 활용한 이동통신서비스로 LTE보다 2배 빠른 속도로 서비스가 가능

 

39. Zombie

다른 프로그램이나 다른 사용자를 조종하도록 악의적으로 설정된 컴퓨터

 

40. LEA(Lightweight Low-power Encryption Algorithm)

우리나라 국가보안연구소에서 개발한 블록 암호 기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경우 인텔, AMD, ARM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환경에서 기존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보다 1.5~2.7배 빠른 속도로 암호화가 가능

 

41.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자바스크립트 언어와 기타 웹 표준을 사용하는 기술. WEB2.0의 기반 기술 중 하나이다. ()는 자체가 하나의 특정한 기술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함께 사용하는 기술의 묶음을 지칭하는 용어로 대화식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위해 사용된다 () 애플리케이션은 실행을 위한 플랫폼으로 사용되는 기술들을 지원 사용된다. 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는데, 이를 지원하는 브라우저로는 모질라 파이어폭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오페라, 사파리 등이 있다. 비슷한 기능의 액티브X나 플래시 등에 비해 가볍고 속도가 빨라 차세대 웹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42. BOTNET(봇넷)

스팸메일이나 악성코드 등을 전파하도록 하는 악성코드 봇에 감염되어 해커가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좀비 PC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43.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자작물사용 허가표시)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이용방법과 조건을 표기하는 일종의 표준약관이자 저작물 이용 허락 표시를 말한다

 

44. DAI(Digital Access Index, 디지털 접근 지수)

정보통신기술(ICT)의 접근성과 서비스 이용에 관한 전 세계적 비교 지수(인터넷 사용여건 비교 지수). 각국의 정보통신 통신망과 기기의 보급 그리고 서비스 이용에 관한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결정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2003년에 처음 발표하였다

 

45. Smart Divide(스마트 디바이드)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는 사람과 그러지 못하는 사람 사이에 발생하는 격차

 

46. PES(Personal Environment Service, 개인환경서비스)

사용자에게 최적화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가지고 가정과 사무실, 자동차, 공공 장소를 이동하면, 휴대 전화가 주변의 각종 생활 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제어하여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한 생활 환경을 제공한다. 휴대 전화와 사용자 주변의 각종 생활 기기는 WPAN 또는 WLAN으로 통신하며, 사전에 휴대 전화에 입력된 사용자의 생활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생활 기기들을 제어하고,이동 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휴대 전화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능적으로 갱신한다.

 

47. Cloud Computing(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 )은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정보통신 기기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 환경이다.

 

48. Memristor(멤리스터)

전류의 방향과 크기 등 기존의 상태를 모두 기억하는 소자. 레지스터, 커패시터, 인덕터에 이어 네 번째 전자 회로 구성 요소로 차세대 기억 소자, 회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 )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등에 이용할 경우 에너지 소모와 부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49. PIA(Privacy Impact Assessment,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기존 정보시스템의 중요한 변경 시, 시스템의 구축ㆍ운영이 기업의 고객은 물론 국민의 사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리 조사ㆍ분석ㆍ평가하는 제도. 개인 정보 침해 위험성을 사전에 발견해,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서 시행착오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도입하는 제도로서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공공기관은 의무화되어 있다.

 

50. RPO(Recovery Point Objective, 목표 복구 시점)

조직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재난 상황으로 IT 시스템이 마비되었을 때 각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여러 백업 수단을 활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 복구가 필요한 업무에 대하여 어느 시점까지 데이터가 필요한가에 따라 시점을 정한다.

 

51. RVC(Reconfigurable Video Coding, 재설정 비디오 코딩)

MPEG에서 제정한 다중 비디오 부호화 표준. 하나의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만든 표준이다(MPEG-1, MPEG-2 등과 같은 부호화 표준들을 처리). 현존하는 MPEG 부호화 표준에서 도출된 부호화 툴(tool)이나 향후 새롭게 개발되는 툴을 포함하는 툴박스를 가지고 단말이 요구하는 프레임워크에 따라 부호화할 수 있다.

 

52. DAISY(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데이지)

시각장애인이나 독서장애인을 위한 국제 디지털 문서 포맷.

 

53. CEP(Complex Event Processing, 복잡 이벤트 처리)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금융, 통신, 전력, 물류, 국방 등에서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며, 미들웨어에 접목시키면 기업이 독자적인 실시간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4. Attack Toolkit(공격용 툴킷)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공격하려고 사용하는 악성 코드 프로그램을 모아 놓은 것. 대표적인 ( )으로는 제우스(Zeus)와 스파이아이(Spyeye) 따위가 있다. 제우스와 스파이아이는 온라인 금융 계정 정보 따위를 탈취할 목적으로 개발한 ( )이다. 둘은 비슷하나 경쟁 관계이다 보니 스파이아이에는 제우스 기능을 죽이는 기능(Kill Zeus)이 들어 있고, 제우스도 새로운 2.0 버전을 내놓으면서 스파이아이의 이러한 기능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55. FDR(Flight Data Recorder, 비행 기록 장치)

비행기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비행할 때 있었던 주요 사항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장치

 

56. Wikipedia(위키피디아)

전 세계 사람들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고 함께 만들어 가는 웹을 기반으로 한 백과사전

 

57. Media Big Bang (미디어 빅뱅)

정보 통신의 발달, 이용자 소비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여 기존의 미디어질서가 해체되는 미디어 환경 변화를 행성의 대폭발을 비유한 표현. 방송과 통신을 융합한 IPTV, 컴퓨터와 방송이 결합한 스마트 TV, 손안에 컴퓨터인 스마트폰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58. Digital Archiving(디지털 아카이빙)

디지털 정보 자원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 아날로그 콘텐츠는 디지털로 변환해 압축해서 저장하고, 디지털 콘텐츠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메타 데이터를 만들어 DB화하는 작업이다. ()은 늘어나는 정보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59. VoIP Security Threat(VoIP 보안 위협)

음성 패킷을 불법으로 수집 및 조합해 통화 내용을 재생하고 도청하는 위협. 서비스 관련 시스템 자원 고갈 및 비정상 패킷의 다량 발송을 통한 회선 마비 등의 서비스 거부(DoS) 공격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조작하거나 추가해 비인가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오용 공격, 호 설정 과정이나 사용자 등록 과정에 개입해 사용자의 세션 제어 권한 등을 획득하는 세션 가로채기, 인터넷 회선을 공유해 녹음기 등을 통해 발송하는 VoIP(인터넷 전화) 스팸이 있다.

 

60. Multipath Fading(다중 경로 페이딩)

신호를 전달하는 전파가 통로상의 여러 가지 장애물에 의해 2개 이상의 경로(multipath)를 통하여 수신 측에 도달하는 경우, 그 합성 신호가 시공간적으로 강도가 변하는(fading) 현상. 전파가 진행하는 경로에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을 경우 반사가 일어나고 반사파는 반사되는 경로에 따라 진폭과 위상이 달라진다.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 수신기는 직접파와 반사파 또는 반사파만으로 구성된 복합된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수신 장애를 받는다. ( ) 방지책으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이나 다이버시티(diversity), 등화기(equalizer) 기술 등이 이용된다.

 

61. STTD(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시공간 송신 다이버시티)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LTE 이전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 송신 안테나 2개, 수신 안테나 1개를 사용하며 송신 기호를 일정 블록 단위로 순서를 뒤집어서 양쪽으로 송신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와 시간 다이버시티 이점을 동시에 얻는다. 크기가 작은 휴대 전화에 2개의 안테나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반면, 크기가 크게 문제되지 않는 기지국에서는 2개의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이 쉽다는 점에 착안하여 개발되었다.

 

62. VHT(Very High Throughput) 128 Qos

IEEE 에서 802.11n(무선랜 통신 표준, 600Mbps) 후속으로 진행하고 있는 표준안. 802.11n 대비 2배 이상의 전송속도인 1Gbps 이상을 지원하여 압축되지 않은 HD 동영상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802.11n과 비교할 때 개선된 커버리지와 전력소모 기능을 갖고, 기존 무선랜 사양들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다. IPv6는 IPv4 고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체계는 IP주소공간을 (63. )비트로 확장하여 주소의 개수를 크게 증가시켰고, 패킷 처리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헤더 포맷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표현방법은 (63. ) 비트를 여덟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콜론( : )으로 구분하여 표현하며, 각 구분은 16진수로 표현한다. IPv6가 사용되면 장차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모든 전자제품, 작게는 전자제품의 일부 회로가 서로 다른 IP주소를 갖게 된다. 또한 서비스에 따라 각기 다른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일정한 수준의(64. ) 을 요구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더욱 쉽게 제공할 수 있고 인증,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기밀성을 지원하도록 보안기능을 강화하였다.

 

63.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64. Qshing(큐싱)

QR코드와 피싱의 합성어로 QR코드를 이용한 해킹을 의미한다. 해커가 만든 악성QR 코드를 촬영하도록 유도하여 악성 앱을 내려 받도록 하거나 악성프로그램을 설치하게 하는 행위의 신조어.

 

65. deep learning(딥러닝)

기술 개발에 글로벌 기업 중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인 곳은 바로 구글이다. 구글은 음성인식과 번역뿐만 아니라 로봇 인공지능 개발에도 ( )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구글은 2012년 앤드류 응(Andrew NG) 스탠퍼드대 교수와 함께 1만6,000개의 컴퓨터로 약 10억 개 이상의 신경망을 만든 '심층신경망'을구현했다. 이 기술을 활용해 유튜브에 등록된 동영상 중에서 학습과정 없이 컴퓨터가 고양이 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컴퓨터가 영상에 나온 고양이의 형태와 생김새를 인식하고 판단하게 만들어 스스로 학습하게 한것이다.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분야를 뜻한다.

 

66.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엠펙)

멀티미디어 관련 부호화 기술의 국제 표준을 제정하는 합동 기술 위원회(JTC: Joint Technical Committee) 산하 조직. JTC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국제 전기 학회(IEC: 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ttee)가 공동으로 설립하였다. ( )에는각국의 방송사, 연구소, 대학을 비롯하여 통신업체, 방송장비업체 및 가전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은 비디오 압축, 오디오 압축, 멀티미디어 다중화,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 멀티미디어 메타데이터 멀티미디어 전자유통 프레임워크 등에 이르기까지 멀티미디어 전 분야를 표준화한다

 

67. JPEG(Join Photographic Experts Group, 제이펙)

ISO/IEC JTC 1과 ITU-T가 공동으로 표준화한 컬러 정지 영상의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압축 표준.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을 기본으로 하고, 확장 방식으로 산술부호화를 하는 알고리듬으로 보통 5~100분의 1 정도의 압축이 가능하고,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까지 폭넓은 해상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 현재 ITU-T)와 합동으로 컬러 정지 화상의 부호화/압축 방식의 표준화를 진행하는 ISO/IEC JTC 1/SC 29 산하의 작업 그룹(WG10)명칭이다.

 

68. MPEG-1(Moving Picture Experts Group 1, 엠펙-1)

엠펙(MPEG)에서 개발된 디지털 저장 매체용 비디오 및 오디오의 압축/부호화 방식의 국제 표준. ( )은 CCIR Rec.601 영상(720×480)을 1.5Mbps로 압축하여 VHS 수준의 화질과 CD 수준의 음질을 얻을 수 있는 규격이다.

 

69. MPEG-2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엠펙-2)

디지털 TV 방송, 통신, 저장 매체용 비디오 및 오디오의 부호화/압축 방식의 국제 표준.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의 합동 조직인 JTC 1 산하의 작업 조직 엠펙(MPEG)에서 표준을 제정하였다. ( )는 TV 방송, 통신,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 광범위한 적용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고품질의 규격이다.

 

70. MP3(MPEG-1 Layer 3, 엠피 3)

압축비가 12:1인 오디오 코덱의 한 형태로 일반 웨이브(wave) 파일에 비해 크기가 10분의 1이면서 콤팩트디스크(CD) 수준의 음질(16비트, 44.1kHz)을 구현할 수 있는 오디오 파일 포맷. 엠펙(MPEG) 오디오는 압축비에 따라 계층(Layer) 1은 4:1 계층 2는 8:1 계층 3은 12:1로 나누고 있다 ( )는141, 1, 있다. 1993년 엠펙-1(MPEG-1) 표준의 일부로 제정되었다.

 

7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파 식별)

전파 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판독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 ) 태그, 운용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 ) 태그는 반도체로 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다.( ) 태그는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 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식과 전지가 포함된 능동식이 있다.

 

72. 바코드(barcode)

여러 종류의 폭이 백과 흑의 평행줄로 이루어지는 막대 부호와 여백 및 광학식 문자 인식을 위한 자형(영숫자) 문자로 구성되어 매체상에 인쇄(표시)된 공통 상품용 기호

가느다란 줄과 굵은 줄의2가지 폭을 가지는 백과 흑의 평행줄로 이루어지는 막대, 여백, 전달 부호 줄 및 광학식 문자 인식을 위한 자형(영숫자)으로 구성되어 매체상에 인쇄(표시)된 표시.

여러 가지 굵기의 줄 모양 표지를 여러 종류의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하도록 인쇄된 것. 줄 모양의 인쇄부를 흑줄, 2개의 흑줄 틈새에 끼인 부분을 백줄이라 부르고, 각 줄의짜 맞추기에 의해 부호화된 문자를 표시한다. 막대로 표시된 문자의 집합에 의해서 상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체계화되어 있다.

 

73.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d-hoc network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u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근에는물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각종 물류정보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74. Bluetooth(블루투스)

IEEE 802.15.1에서 표준화된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가까운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 10m 이내의 거리에서 3Mbps 정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복잡한 설정 없이도( ) 호환 기기라면 곧바로 인식해 움직인다. ( )의 적용 범위는 휴대 전화나 노트북, MP3를 비롯한 휴대용 IT 기기에서 자동차나 TV, 냉장고, 운동 기구, 의료 기기 따위로도 확대되고 있다.

 

75.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 자료 교환)

기업 간 전자상거래 서식 또는 공공 서식을 서로 합의된 표준에 따라 표준화된 메시지 형태로 변환해 거래 당사자끼리 통신망을 통해 교환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 ) 시스템의 기본 기능은 기업의 수주, 발주, 수송, 결제 등 상업 거래 자료를 변환, 통신, 표준 관리, 그리고 거래처 관리 등이다.

 

76. BPR(Business Process Relationship Management, 업무 재설계)

기업 경영 내용이나 경영 과정 전반을 분석하여 경영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재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기업 형태, 사업 내용, 조직, 사업 분야 등을 재구성하는 것.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제창한개념인데,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컴퓨터나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77.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전화)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의 형태로 전달하는 기술

 

78.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기업이 고객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영 기법을 의미한다.

 

79.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드라마, 영화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즉시 선택해 시청할 수 있는 양방향 영상 서비스

 

80.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 통신망)

공중망 상에 사설망을 구축하여 마치 사설 구내망 또는 전용망 같이 이용하는 통신망

 

81. CODEC(coder/decoder, 코덱)

큰 파일 혹은 프로그램이 차지하고 있는 저장 공간을 줄여주는 알고리즘 또는 특화 컴퓨터 프로그램. 비디오와 같이 복잡한 파일에 소요되는 많은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 기법이 사용되며, 압축은 데이터 내의 중복되는 부분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텍스트 프로그램,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가상 현실 등과같은 어떤 종류의 파일에 대해서도 압축이 가능하며 압축된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압축 해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은 QuickTime, Netmeeting, Cu-SeeMe, VDOphone 등과 같은 많은 인터넷 제품에 사용된다.

 

82.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시스템(FPLMTS)을 우리나라에서 부르는 이름.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ITU-R)에서는 세계 어디에서나 언제나(Anywhere-Anytime)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 음성/데이터 등 다양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PLMTS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83.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성 생성 언어)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기능을 확장할 목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WW Consorsium)에서 표준화한 페이지 기술 언어. HTML에서 사용되는 연결(link) 기능 등을 확장함과 동시에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SGML)를 인터넷용으로 최적화한 것으로 사용자가 태그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이는 화면에 추가하여 구조화된 데이터의 전달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84. Active X(액티브 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 환경에서 인터넷을 통해 다운 받은 내용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인터넷익스플로러(InternetExplorer) 브라우저를 위해 고안되었다.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문서 등을 웹과 연결시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 )가 사용된 페이지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내려받기되어 설치된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의 자바(Java) 기술에 대항하는 기술이다.

 

85. UCC(User Created Content, 사용자 제작 콘텐츠)

인터넷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만들어 유통되는 콘텐츠. 사용자가 질문하고, 또한 사용자가 각종 지식과 경험을 댓글해 주는 포털의 지식검색 서비스나 위키(wiki)사전 등이( )의 효시라 할 수 있다. ( )는 텍스트에 이어 최근 이미지·동영상·음악 등 멀티미디어로 분야를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또한, 웹2.0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다양한 정보들 창조하고, 공유할 수 있어이 또한 향후 유통되는 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86. Quickdom(퀵돔)

2단계 영문 kr도메인의 브랜드명. ( )은 xxxx.kr과 같이 xxxx.co.kr과같은 3단계 형태의 도메인에 비하여 짧은 형태의 도메인으로 기억하기 쉽고 주소창에 입력하기도 간편하다.

 

87. Digilog(디지로그)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적 정서가 결합한 제품과 서비스, 또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넘어가는 변혁기에 위치한 세대. 디지털의 장점을 수용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날로그 시스템으로 구성된 제품을 일컫는다. 아날로그적 사고는 디지털 사회에서도 여전히 필요한 요소이며 아날로그적 행태가 디지털 사회를 더욱 풍부하게 해 준다는 인식 아래 첨단 외양에 인간적 정감과 추억이 깃든 상품에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말이다.

 

88. Key pair

공개 키 암호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개인 키와 공개 키 쌍. 2개의 키는 서로 수학적인 방법에 의해 암호 및 복호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원래의 평문을 추출할 수 있다. 개인 키와 공개 키 쌍은 1개는 암호화에 이용되고 또 다른 1개의 키는 복호화에 이용된다.

 

89. Web 2.0(웹 2.0)

사용자 스스로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의 웹 환경. 기존 웹에서는 포털 사이트처럼 서비스업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수신만 하는 형태였으나 ( ) 환경에서는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 )의 근본 개념은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고 이끌어 가는 문화, 집단 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의 공유 등이다.

 

90. Taxonomy(택소노미)

가나다, ... ABC, ...와 같이 표준화되고 체계적으로 분류된 전통적인 분류학(taxonomy) 기반의 분류체계. 트리형의 위계적 구조로서 이미 결정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스어로 '분류하다'와 '법, 과학' 의 합성어.

 

91. Tagging(태그달기)

콘텐츠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검색용 꼬리표인 키워드를 다는 것. 글을 올린 사람이나 사이트 관리자가 글이나 이미지를 관련된 주제나 카테고리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도록 키워드 처리를 해주는 것으로서 주로 블로그나 웹 페이지 상에서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92.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웹 브라우저를 통한 XML 문서의 상호 연동을 위한 객체 기반의 문서 모델

 

93.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텔레비전/비디오/오디오/텍스트/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o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 VoD, T-커머스, 오락, 뱅킹, 정보, TV 포털 및 다채널방송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ADSL, FTTH와 같은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디지털 셋톱박스에 연계된 TV 단말기를 이용하여 패킷방식으로 제공되는 양방향 TV 서비스를 말한다.

 

94. Viewing Angle(시야각)

화면 표시장치에서 정상적인 화면을 볼 수 있는 최대한의 측면각도

 

95.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기업이나 조직의 지식을 이용하기 쉽게 축적하여 해당 지식을 기업의 전략이나 정책 수립,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96. CKO(Chief Knowledge Officer, 지식 총괄 책임자)

기업내의 지식 활동을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 ( )는 창의성을 증진하고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자사 상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되는 시장 정보, 고객의 반응, 전문 정보 등 전 사원이 알아야 할 사항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공유하게 하는 기능을 총괄한다.

 

97.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업무의 효율화 등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문서와 자료를 그 생성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명 주기에 걸쳐 일관성 있게 전자적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각종 전자 문서의 등록, 저장, 관리, 송수신 조회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98. groupware(그룹웨어)

여러 사람이 함께 쓸 수 있는 소프트웨어. 단으로서의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99. Femtocell(펨토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초소형 기지국. 기존의 인터넷을 통해서 핵심망(코어망)과 접속되며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 설치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100.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의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 가능하도록 한 소프트웨어. ( )는 소프트웨어 유통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공급 업체가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용한 만큼 돈을 지불한다. 전통적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과 비교할 때 S( )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품 소유의 여부이다. 기존 기업용 소프트웨어는 기업 내부의 서버 등 장비에 저장해 이용한다는 점에서 고객이 소유권을 갖고 있었지만,( )는 소프트웨어가 제품이 아닌 서비스, 즉 빌려 쓰는 모델이라는 점에서 기존 라이선스 모델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 )는 기업이 새로운 소프트웨어 기능을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을 대폭 줄여 주며, 일정 기간 동안 사용량 기반으로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인프라 투자와 관리 부담을 피할 수 있게 한다.